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맥스 스태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ba0021><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ba0021,#ff4465> 31 앤더슨 · 40 바크만 · 43 산도발 · 44 조이스 · 46 허겟 · 47 캐닝 · 48 데트머스 · 53 에스테베즈 · 54 수아레스 · 58 다니엘 · 59 소리아노 · 60 완츠 · 61 워렌 · 63 실세스 · 65 퀴하다 · 66 잉그램 · 71 카세레스 · 78 로젠버그 · # 메데로스 · # 코차노비츠 · # 콜라렉 · # 가르시아 · # 심버 ||
|| 포수 || 14 오하피 · 21 타이스 ||
|| 내야수 || 2 렌히포 · 6 렌던 · 9 네토 · 13 소토 · 18 샤누엘 · 19 파리스 · 23 드루리 · 38 스테파닉 · 75 캐비지 · # 리바스 ||
|| 외야수 || 3 워드 · 7 아델 · 16 모니악 · 27 트라웃 · 39 애덤스 ||
||<-2> 파일:미국 국기.svg 론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 몽고메리 파일:미국 국기.svg 배리 엔라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가예고 파일:미국 국기.svg 빌 헤즐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칠리 데이비스 ·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보 포터 ·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영 시니어 파일:미국 국기.svg 필 플랜티어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고인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리 내론 파일:미국 국기.svg 알리 모다미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맥스 스태시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1번
호세 베라스
(2013)
맥스 스태시
(2013)
브래드 피콕
(2014~2020)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12번
카를로스 페냐
(2013)
맥스 스태시
(2014~2019)
마틴 말도나도
(2019)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33번
맷 하비
(2019)
맥스 스태시
(2019~)
현역

파일:Max_Stassi_Los_Angeles_Angels.jpg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33
맥스 스태시
Max Stassi
본명맥스 로버트 스태시
Max Robert Stassi
출생1991년 3월 15일 (33세)
캘리포니아 주 우드랜드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유바 시티 고등학교
신체178cm / 90kg
포지션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09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23번, OAK)
소속팀휴스턴 애스트로스 (2013~2019)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19~)
계약2022 - 2024 / $17,500,000[option]
연봉2024 / $7,000,000
가족브록 스태시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 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휴스턴 애스트로스[편집]


원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4라운드로 드래프트된 포수지만, 2013년 오클랜드가 제드 라우리를 다시 데려오는 대가로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013년 제이슨 카스트로의 백업 포수로 빅리그에 승격되었지만 정착하는 데는 실패하고 브라이언 맥캔의 영입으로 빅리그 포수에서 밀려나 마이너와 메이저를 오가면서 활동했다.

애스트로스가 우승하고 나서인 2018년부터 맥캔의 백업으로 빅리그에 정착한 스태시는 88경기 250타석에서 .226/.316/.394를 기록했다.

2.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편집]


2018년 오프시즌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영입한 포수 로빈슨 치리노스에게 주전을 뺏기고 백업으로 활동하다가 포수 공백이 있었던 에인절스로 트레이드된다. 당시 급하게 영입했지만 심각한 노쇠화를 보인 조나단 루크로이가 결국 방출되면서 여러 선수가 포수 자리를 때웠고 스태시도 그중에 1명이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한 2020 시즌 개막 연기는 오히려 스태시에게 호재가 되었고, 경쟁자들이 사라지며 무주공산이 된 에인절스의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한 뒤 스태시는 31경기 105타석에서 7홈런 .278/.352/.533라는 준수한 공격력을 보여주며 주전 안착에 거의 성공했다.

2021년 베테랑 커트 스즈키의 영입과 부상으로 타석을 스즈키와 나누고 있지만 타격 면에서는 스즈키를 능가하는 생산성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3월 24일, 3년 1,750만 달러의 연장계약을 체결했지만, 공수에서의 극심한 부진으로 먹튀가 될 위기에 처했다. 당장 로건 오하피가 콜업된 만큼 스태시의 입지도 그리 밝지 못하다.

2023년에는 자신의 엉덩이 부상과 가족의 건강 문제로 인해 시즌을 통으로 결장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4.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맥스 스태시의 역대 MLB 기록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2013HOU38200001002.286.375.286.6610.00.0
2014720720024006.350.350.450.8000.10.2
20151117600142015.400.438.6001.0380.20.4
2016913100010005.077.077.077.154-0.2-0.2
20171431410254064.167.323.458.7810.20.1
201888250501308282702374.226.316.394.7102.81.1
연도GPAH2B3BHRRRBISBBBSOAVGOBPSLGOPSfWARbWAR
2019HOU/LAA51147181017501249.136.211.167.378-0.3-1.5
2020LAA3110525207122001121.278.352.533.8860.71.0
20218731968111134535028101.241.326.426.7522.91.8
20221023756012193230038112.180.267.303.5710.0-0.5
MLB 통산
(10시즌)
4031285241422411361280119379.212.295.361.6566.22.2


5. 기타[편집]




6. 관련 문서[편집]



[option] club option $7,500,000 for 2025 with buyout $500,0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1:36:29에 나무위키 맥스 스태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